존 랠스톤 소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랠스턴 소울은 캐나다의 작가, 철학자, 비평가, 에세이 작가이다. 1947년 오타와에서 태어나 킹스 칼리지 런던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국영 석유 회사 페트로캐나다 설립에 참여했다. 그는 소설 《맹금류》, '허허벌판의 삼부작' 등을 출간했고, 2009년에는 국제 펜클럽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소울은 이성과 균형, 캐나다 정체성, 세계화와 민족주의에 대한 사상을 제시했으며, 《무의식 속의 문명》으로 캐나다 총독 문학상을 수상하는 등 여러 상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의 정치 이론가 - 찰스 테일러 (철학자)
캐나다 철학자 찰스 테일러는 형이상학적 자연주의와 형식주의 인식론에 반대하며 해석학과 현상학을 옹호하는 '참여적 해석학'을 제시했고, 공동체주의적 관점에서 자유주의 이론을 비판했으며, 종교철학 분야에서도 활동한 학자이자 정치인이었다. - 캐나다의 인문주의자 - 마거릿 애트우드
마거릿 애트우드는 1939년 캐나다에서 태어나 디스토피아 사회 비판, 여성 문제, 캐나다 정체성 등 다양한 주제를 탐구하는 소설가, 시인, 비평가, 수필가, 환경운동가이다. - 캐나다의 인문주의자 - 제임스 랜디
제임스 랜디는 캐나다 출신의 마술사이자 회의론자로, 가짜 초능력자 폭로, 탈출 마술, 저서 및 강연을 통해 초자연 현상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시하며 회의론 운동에 기여했다. - 캐나다의 정치철학자 - G. A. 코헨
캐나다 출신 정치철학자 G. A. 코헨은 분석적 마르크스주의의 주요 옹호자로서, 옥스퍼드 대학교 치첼 의장을 역임하며 마르크스의 역사 이론을 옹호하고 사회주의적 이상을 옹호하는 도덕적 주장을 펼쳤으며, 기술 사용을 꺼리는 "기술적 보수주의"자로도 알려졌다. - 캐나다의 정치철학자 - 해럴드 이니스
해럴드 이니스는 캐나다의 경제사학자이자 커뮤니케이션 이론가로서 스테이플스 이론으로 캐나다 경제사 연구에 기여하고, 《제국과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의 편향》 등의 저서를 통해 커뮤니케이션 이론 발전에 공헌했으며, 대학의 비판적 사고 중심 역할도 강조했다.
존 랠스톤 소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47년 6월 19일 () |
출생지 | 오타와, 온타리오 주, 캐나다 |
배우자 | 에이드리엔 클라크슨(1999년 결혼) |
직업 | 작가 정치 철학자 |
학력 | 맥길 대학교 킹스 칼리지 런던 |
직위 | |
국제펜클럽 회장 | title: 국제펜클럽 회장 termstart: 2009년 10월 termend: 2015년 10월 predecessor: 이리 그루샤 successor: 제니퍼 클레멘트 |
캐나다 총독 배우자 | title: 제53대 캐나다 총독 배우자 governor_general2: 에이드리엔 클라크슨 termstart: 약 1999년 termend: 2005년 9월 27일 predecessor: 다이애나 파울러 르블랑 successor: 장 다니엘 라퐁 |
서훈 |
2. 생애
캐나다 오타와에서 태어난 소울은 몬트리올의 맥길 대학교를 거쳐 1972년 영국 킹스 칼리지 런던에서 '샤를 드 골 치하의 프랑스의 근대화'라는 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76년 모리스 스트롱의 보좌관으로 국영석유회사 페트로캐나다 설립에 참여한 후 저작활동에 들어가 1977년 첫 소설 《맹금류》를 출간했다.
1970년대 말부터 1980년대에 걸쳐 북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에서 게릴라 부대와 함께 지내며, 《바라카》, 《차선책》, 《천국을 먹어치우는 사람》 등 '허허벌판의 삼부작'을 출간했다. 이 작품들은 표현의 자유를 억압받는 작가들의 모습을 증언하며 국제 펜클럽의 관심을 모았다.[51]
2009년 국제 펜클럽 회장으로 선출되었는데, 북미 출신으로는 아서 밀러에 이어 두 번째였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존 랠스턴 소울은 1947년 캐나다 오타와에서 육군 장교인 아버지 윌리엄 소울과, 대대로 군 복무를 해 온 영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5] 오타와에서 태어났지만, 앨버타와 매니토바에서 성장했으며, 온타리오주 오크빌에서 오크빌 트라팔가 고등학교를 졸업했다.[6][7] 어린 시절부터 프랑스어와 영어를 모두 유창하게 구사하게 되었다. 몬트리올의 맥길 대학교에서 수학한 후, 영국 킹스 칼리지 런던에서 1972년 '샤를 드 골 치하의 프랑스의 근대화'를 주제로 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2. 2. 초기 경력 및 저술 활동
맥길 대학교 졸업 후 외교관을 지망했으나, 1968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계획을 변경했다. 킹스 칼리지 런던에서 샤를 드 골 시대 프랑스의 현대화에 관한 논문으로 1972년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5] 이후 연구를 위해 프랑스로 건너가 샤를 드골의 참모총장에 대한 낭만적인 버전을 담은 첫 소설 《장군의 죽음》을 집필하기 시작했다.1976년 모리스 스트롱의 보좌관으로 국영 석유 회사 페트로캐나다 설립에 참여했다.[5] 1977년 첫 소설 《맹금류》를 출간했다.
1970년대 말부터 1980년대에 걸쳐 북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 등지를 여행하며 게릴라 부대와 함께 지내기도 했다. 이 시기에 《바라카》, 《차선책》, 《천국을 먹어치우는 사람》 등 '허허벌판의 삼부작'을 출간했다. 이 작품들은 북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에서 표현의 자유를 억압받는 작가들의 모습을 증언하며 국제 펜클럽의 관심을 모았다.[51][8]
2. 3. 국제 펜클럽 활동
1970년대 말부터 1980년대에 걸쳐 북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에서 체류하며, 그곳의 작가들이 정부의 표현의 자유 탄압으로 고통받는 것을 목격하고 국제 펜클럽 활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8] 1990년부터 1992년까지 캐나다 펜클럽 회장을 역임했다.2009년 오스트리아 린츠에서 열린 세계 펜 연차총회에서 3년 임기의 국제 펜클럽 회장으로 선출되었다.[5] 북미 출신으로는 아서 밀러에 이어 두 번째로 국제 펜클럽 회장에 선출된 것이다.[51] 2012년 연임하여 2015년까지 재임했다.
국제 펜클럽 회장 재임 기간 동안 소수 언어와 멸종 위기에 처한 문화, 특히 토착 언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102개국 144개 펜 센터의 분산된 활동을 장려하고, 문학과 표현의 자유가 불가분의 관계임을 역설했다. 튀니지에서의 표현의 자유 침해에 대해 유럽 의회 인권위원회에서 증언하고, 망명 작가들을 옹호하는 활동을 펼쳤다.
2. 4. 시민 단체 활동
존 랠스톤 소울은 새로운 캐나다 시민들이 적극적인 시민이 되도록 장려하는 캐나다 시민권 협회(Institute for Canadian Citizenship)의 공동 회장이다. 국제 펜클럽 캐나다 센터의 전 회장이자 후원자이기도 하다. 또한 영어와 프랑스어 이중 언어 교육을 장려하는 '미래를 위한 프랑스어'(French for the Future)의 설립자이자 명예 회장이며, 라퐁텐-볼드윈 심포지엄 강연 시리즈 자문 위원회 의장, 그리고 장애인 지원 단체인 PLAN(Planned Lifetime Advocacy Network)의 후원자이다.[8]3. 사상
소울의 철학은 《볼테르의 사생아: 서구의 이성의 독재》, 《의심하는 자의 동반자: 공격적인 상식 사전》, 《무의식적인 문명》 3부작으로 대표된다. 《무의식적인 문명》은 1996년 캐나다 총독 문학상(논픽션 부문)을 수상했다.[3]
이 저작들에서 소울은 이성이 다른 인간적 특성에 비해 불균형적으로 중요시되는 현상, 즉 '이성의 독재'를 비판한다. 그는 이성이 권력 추구를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며, 이데올로기를 진리로 포장하는 데 이용된다고 주장한다. 또한, 합리적이지만 비민주적인 조합주의 구조와 소규모 집단의 신봉, 그리고 그 폐해를 가리는 언어와 전문 지식의 사용을 비판한다. 소울은 사회의 역할을 존중하지 않는 개인주의가 개인의 자립과 자기 결정을 돕는 대신 고립과 소외를 초래한다고 지적한다. 그는 이성이 상식, 윤리, 직관, 창의성, 기억 등 다른 정신 능력과 균형을 이루어야 하며, 자유로운 언어와 실질적인 민주주의가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3. 1. 이성과 균형
존 랠스톤 소울은 현대 사회에서 이성이 다른 인간적인 특성들과 균형을 잃고 독재적으로 작용하는 현상을 비판한다.[3] 이러한 '이성의 독재'는 권력 추구를 정당화하고, 이데올로기를 진리로 포장하며, 비민주적인 구조를 초래한다고 주장한다.[3] 소울은 상식, 도덕성, 상상력, 직관력, 기억, 이성이라는 여섯 가지 인간적 특성이 조화를 이루는 '균형'의 중요성을 강조한다.[4] 그는 이러한 균형을 통해 개인은 고립과 소외에서 벗어나 자율성과 자기 결정 능력을 회복하고, 사회는 공동선을 추구할 수 있다고 본다.[3]3. 2. 캐나다 정체성과 다문화주의
소울은 캐나다를 '유연한' 국가로 정의하는데, 이는 경직되거나 획일적인 정체성을 가진 다른 국가들과 달리 융통성과 복합성을 갖춘 정체성을 지니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는 캐나다의 복합적 정체성이 원주민, 프랑스어권, 영어권이라는 세 구성 요소 간의 '삼각 관계의 현실'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한다. 이들 간의 대결보다는 타협을 강조하며, 퀘벡 주 독립 추진파와 캐나다 전통주의자들의 갈등 조장을 비판한다.[47]소울은 현대 캐나다가 1600년대 이후 250년 이상 원주민의 사상과 경험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하며, 원주민의 역할을 재조명한다. 그는 원주민들이 자신들의 전통 사회로 복귀하려는 시도를 지지하며, 비원주민 캐나다인들도 원주민의 영향을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한다.[47]
3. 3. 세계화와 민족주의
2004년 3월호 월간 《하퍼스》지에 《세계화의 몰락과 민족주의의 부활》이라는 제목으로 기고한 글에서, 소울은 세계화가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아니라 반대 세력에 의해 이미 그 이데올로기가 파괴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2005년에는 이 주장을 재정비하여 《세계화의 몰락과 세계 개혁》을 썼다. 그는 이 책에서 세계화는 이미 반대 세력에 의해 밀려나고 있으며, 각국은 적극적이고 파괴적인 방식으로 국가적인 이익만 추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소울의 예측대로 세계 경제 위기가 시작되면서, 그가 주장한 '세계화의 몰락'은 현대의 위기를 설명하는 새로운 에필로그로 부상했다.
4. 주요 저서
존 랠스톤 소울은 소설과 논픽션을 아우르는 다양한 저서를 집필했다.
소설로는 1977년 첫 작품 《맹금류》를 출간했는데, 샤를 드 골 치하의 프랑스를 배경으로 한 이 소설은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되었다.[51] 1980년대에는 북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에서 게릴라 부대와 함께한 경험을 바탕으로 '허허벌판의 삼부작'(《바라카》, 《차선책》, 《천국을 먹어치우는 사람》)을 발표했다. 이 중 《천국을 먹어치우는 사람》은 이탈리아에서 《프레미오 레테라리오 인터나치오날레》 상을 수상했다.[51] 《드 시 봉 미국인들》은 미국의 신흥 부유층의 생활을 다룬 피카레스크 소설이다.[51]
논픽션 분야에서는 철학 에세이 3부작(《볼테르의 사생아: 서구의 이성의 독재》(1992), 《의심하는 자의 동반자: 공격적인 상식 사전》(1994), 《무의식적인 문명》(1995))을 통해 이성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조합주의의 위험성을 경고했다. 《무의식적인 문명》은 1996년 캐나다 총독 문학상 논픽션 부문을 수상했다.[51] 이후 《균형에 관하여》(2001)에서 상식, 윤리, 상상력, 직관, 기억, 이성의 여섯 가지 자질의 균형을 강조하며 4부작을 마무리했다.[51]
캐나다와 캐나다의 역사 및 문화에 대한 그의 관심은 《샴 쌍둥이의 성찰》(1998)과 《공정한 국가》(2008)에서 드러난다. 《샴 쌍둥이의 성찰》에서는 캐나다를 "유연한" 국가로 정의하며, 퍼스트 피플, 영어 사용(앵글로폰)의 "삼각 현실"을 강조했다.[51] 《공정한 국가》에서는 캐나다의 기원을 "평화, 질서 및 훌륭한 정부"가 아닌 "평화, ''복지'', 그리고 훌륭한 정부"에서 찾으며, 원주민의 영향력을 강조했다.[51]
세계화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은 《세계화의 붕괴와 세계의 재창조》(2005)에서 나타난다. 그는 세계주의 이념이 이미 붕괴되고 있으며, 민족주의가 부상하고 있다고 주장했다.[51]
펭귄 캐나다의 ''탁월한 캐나다인'' 시리즈의 총 편집자로서, 루이-히폴리트 라퐁텐과 로버트 볼드윈의 이중 전기를 집필하여 캐나다 건국의 기원을 재조명하기도 했다.[51]
4. 1. 소설
소울은 1977년에 그의 첫 소설 《맹금류》를 출간했다. 《맹금류》는 샤를 드 골 치하의 프랑스를 배경으로 한 정치 소설로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되었다.[51]1980년대에 걸쳐 북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에 머물면서 게릴라 부대와 자주 여행을 하기도 했는데, 이 시기에 나온 소설이 《바라카》, 《차선책》, 《천국을 먹어치우는 사람》 등 '허허벌판의 삼부작'이다.[51] 《천국을 먹어치우는 사람》은 이탈리아에서 《프레미오 레테라리오 인터나치오날레》 상을 수상했다.[51]
《드 시 봉 미국인들》은 미국의 신흥 부유층의 생활을 살펴 본 피카레스크 소설이다.[51]
- 《맹금류》 (1977)
- 《바라카》 (1983)
- 《차선책》 (1986)
- 《천국을 먹어치우는 사람》 (1988)
- 《드 시 봉 미국인들》 (1994)
4. 2. 논픽션
소울의 철학 에세이는 베스트셀러인 《볼테르의 사생아: 서구의 이성의 독재》(1992), 논쟁적인 철학 사전 《의심하는 자의 동반자: 공격적인 상식 사전》(1994), 그리고 1995년 매시 강연에서 발전한 책 《무의식적인 문명》(1995)으로 구성된 3부작으로 시작되었다. 《무의식적인 문명》은 1996년 캐나다 총독 문학상 논픽션 부문을 수상했다.[51]이 책들은 이성이 다른 인간적 특성들과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권력 자체를 위한 권력 추구를 보상하는 무방향성 상태에서 어떤 목적을 위해서든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와 같은 주제를 다룬다. 그는 이것이 이데올로기가 진실로 승격되는 것과 같은 사상의 왜곡으로 이어진다고 주장한다. 그가 소규모 집단의 숭배를 의미하는 조합주의의 합리적이지만 반민주적인 구조, 그리고 이것이 초래하는 피해에 대한 실질적인 이해를 가리고, 우리 사회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언어와 전문가 지식의 사용을 지적한다. 그는 사회의 역할에 대한 고려 없이 개인주의의 부상이 한때 희망했던 것처럼 더 큰 개인의 자율성과 자기 결정을 창출하지 못하고, 고립과 소외를 야기했다고 주장한다. 그는 인본주의 이상을 추구할 것을 요구하는데, 이는 이성이 상식, 윤리, 직관, 창의성, 기억과 같은 다른 인간의 정신적 능력과 균형을 이루고, 공동의 선을 위하며, 그는 제약 없는 언어와 실질적인 민주주의의 중요성에 대해 논한다. 이러한 특성들은 2001년 저서 《균형에 관하여》에서 자세히 설명된다.[51]
그는 이 주제들을 캐나다와 캐나다의 역사 및 문화와 관련하여 1998년 저서 《샴 쌍둥이의 성찰》에서 확장했다. 이 책에서 그는 캐나다가 "유연한" 국가라는 아이디어를 제시했는데, 이는 캐나다가 약하다는 의미가 아니라 다른 국가의 완고하거나 획일적인 정체성과 대조적으로 유연하고 복잡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이다.[51]
그는 캐나다의 복잡한 국가 정체성이 캐나다를 구성하는 세 국가, 즉 퍼스트 피플],
5. 수상 및 서훈
- Premio Letterario Internazionale영어: 《천국을 먹어치우는 사람》(1990년)
- 프랑스 문예공로훈장 슈발리에(1996년)[17]
- 고든 몬테이도 상: 《무의식 속의 문명》(1996년)[44]
- 캐나다 총독 상 논픽션 문학부문: 《무의식 속의 문명》(1996년)
- 고든 몬테이도 상: 《샴 쌍둥이에 대한 고찰》(1998년)[45]
- 캐나다 훈장 컴패니언(CC)(1999년)[16][20]
- 엘리자베스 2세 즉위 50주년 기념메달(2002년)[23]
- 파블로 네루다 국제회장 메달(2004년)
- 대한민국 만해문학상(2010년)
- 구텐베르크 은하 문학상 (2011년)
- 캐나다 작가 연합 자유 출판상 (2011년)
국가 | 날짜 | 임명 | 약자 |
---|---|---|---|
캐나다 | 1999년 9월 28일 | 캐나다 훈장 동반자 | CC |
캐나다 | 1999년 | 성 요한 기사단 정의 기사 | |
캐나다 | 2014년 | 온타리오 훈장 | OOnt |
캐나다 | 2002년 2월 6일 |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즉위 50주년 기념 메달 (캐나다 버전) | |
캐나다 | 2012년 2월 6일 |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즉위 60주년 기념 메달 (캐나다 버전) |
위치 | 날짜 | 학교 | 학위 | 졸업 연설 연사 |
---|---|---|---|---|
캐나다 퀘벡주 | 1997년 6월 10일 | 맥길 대학교 | 문학 박사 (D.Litt.) | 예 |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 2000년 10월 5일 | 사이먼 프레이저 대학교 | 법학 박사 (LL.D) | 예 |
캐나다 매니토바주 | 2002년 10월 24일 | 매니토바 대학교 | 법학 박사 (LL.D) | |
캐나다 온타리오주 | 2003년 5월 30일 | 로렌시안 대학교 | 법학 박사 (LL.D.) | 예 |
캐나다 온타리오주 | 2003년 | 퀸즈 대학교 | 법학 박사 (LL.D) | |
캐나다 뉴브런즈윅주 | 2003년 | 마운트 앨리슨 대학교 | 법학 박사 (LL.D.) | |
러시아 | 2003년 9월 29일 | 헤르젠 대학교 | 박사 | 예 |
캐나다 온타리오주 | 2004년 10월 31일 | 오타와 대학교 | 대학교 명예 박사 (D.Univ.) | 예 |
캐나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 | 2011년 5월 | 뉴펀들랜드 기념 대학교 | 문학 박사 (D.Litt.) | |
캐나다 온타리오주 | 2011년 | 니피싱 대학교 | 문학 박사 (D.Litt.) | |
캐나다 매니토바주 | 2014년 10월 17일 | 위니펙 대학교 | 법학 박사 (LL.D) | 예 |
캐나다 노바스코샤주 | 2018년 봄 | 달하우지 대학교 | 법학 박사 (LL.D.) | |
영국 | 2019년 10월 16일 | 킹스 칼리지 런던 | 문학 박사 (D.Litt.) | 예 |
캐나다 온타리오주 | 2023년 6월 9일 | 온타리오 공과대학교 | 법학 박사 | 예 |
참조
[1]
문서
Technocracy (bureaucratic)-led
[2]
웹사이트
6 Degrees
https://web.archive.[...]
2019-11-01
[3]
웹사이트
John Ralston Saul
https://web.archive.[...]
2018-08-02
[4]
웹사이트
2014 Shaughnessy Cohen Prize for Political Writing Finalist
https://writerstrust[...]
2018-08-02
[5]
웹사이트
Citizen Saul
http://thewalrus.ca/[...]
2010-04-12
[6]
웹사이트
Citizen Saul {{!}} The Walrus
https://thewalrus.ca[...]
2021-12-30
[7]
뉴스
When the Governor General Calls
https://news.oakvill[...]
1999-12-12
[8]
웹사이트
Ralston Saul to focus on indigenous languages at PEN
https://www.cbc.ca/n[...]
CBC News
2013-03-27
[9]
웹사이트
His Excellency John Ralston Saul J.D. Young Memorial Lecture 'A New Era of Irregular Warfare?'
https://wayback.arch[...]
Governor General of Canada
[10]
웹사이트
The McGill Law Journal Annual Lecture
http://lawjournal.mc[...]
[11]
웹사이트
Slaves to Money and Growth: when did saving a bank become more important than saving a country?
http://www.smh.com.a[...]
2012-08-18
[12]
서적
Citizens and Nation: An Essay on History, Communication, and Canada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0
[13]
서적
A Fair Country: Telling Truths About Canada
Viking
2008
[14]
뉴스
Shaughnessy Cohen Prize finalists announced
https://www.theglobe[...]
2015-01-27
[15]
웹사이트
Time for a Rewrite
http://www.geist.com[...]
2017-03-18
[16]
웹사이트
Mr. John Ralston Saul
https://www.gg.ca/en[...]
2022-08-15
[17]
웹사이트
John Ralston Saul {{!}} Awards and Distinctions {{!}} The University of Winnipeg
https://www.uwinnipe[...]
2022-08-15
[18]
웹사이트
John Ralston Saul
https://web.archive.[...]
PEN International
2019-11-01
[19]
웹사이트
King's celebrates its new honorary graduates
https://www.kcl.ac.u[...]
2020-10-27
[20]
웹사이트
John Ralston Saul's Order of Canada Citation
https://www.gg.ca/en[...]
2021-08-16
[21]
문서
file:///C:/Users/Owner/AppData/Local/Temp/Role-of-the-Order-2018-Repetoire-de-lOrdre.pdf
[22]
웹사이트
The Order of Ontario
https://www.ontario.[...]
2021-08-16
[23]
웹사이트
John Ralston Saul Queen Elizabeth II's Golden Jubilee Medal
https://www.gg.ca/en[...]
2021-08-16
[24]
뉴스
John Ralston Saul Queen Elizabeth II's Diamond Jubilee Medal
https://www.gg.ca/en[...]
2021-08-16
[25]
웹사이트
John Ralston Saul [visiting faculty]
https://www.kcl.ac.u[...]
2020-10-27
[26]
웹사이트
McGill Honorary Degree Recipients 1935-October 2019
https://web.archive.[...]
2021-08-16
[27]
웹사이트
Honorary Degree Recipients to 2020
https://www.sfu.ca/c[...]
2021-08-16
[28]
웹사이트
Past Honorary Degree Recipients
https://www.sfu.ca/c[...]
2021-08-16
[29]
웹사이트
John Ralston Saul's Honorary Degree Citation
https://www.sfu.ca/c[...]
2021-08-16
[30]
웹사이트
Honorary Degree Recipients
https://web.archive.[...]
2021-08-16
[31]
웹사이트
His Excellency John Ralston Saul Honorary Degree Laurentian University
https://archive.gg.c[...]
2020-10-27
[32]
웹사이트
Queen's University Honorary Degrees
https://www.queensu.[...]
2021-08-16
[33]
웹사이트
Mount Allison University {{!}} Honorary degree recipients 21st century
https://web.archive.[...]
2020-10-27
[34]
웹사이트
His Excellency John Ralston Saul Address Made Upon the Conferral of an Honorary Degree (Honoris Causa) Herzen State Pedagogical University
https://archive.gg.c[...]
2020-10-27
[35]
웹사이트
Speech – D. University 2004 John RALSTON SAUL, 2004 {{!}} About uOttawa {{!}} University of Ottawa
https://www.uottawa.[...]
2020-10-27
[36]
웹사이트
Honorary Graduates of Memorial University of Newfoundland 1960-Present
https://www.mun.ca/s[...]
2021-08-16
[37]
웹사이트
Honorary Degree Recipients
https://www.nipissin[...]
2020-10-27
[38]
웹사이트
John Ralston Saul Honorary Doctorate
https://www.uwinnipe[...]
2021-08-16
[39]
웹사이트
John Ralston Saul Convocation Address
https://www.uwinnipe[...]
2021-08-16
[40]
웹사이트
2018 Honorary Degree Recipients
https://www.dal.ca/a[...]
2021-08-16
[41]
웹사이트
John Ralston Saul
https://www.dal.ca/a[...]
2021-08-16
[42]
웹사이트
King's celebrates its new honorary graduates
https://www.kcl.ac.u[...]
2021-08-16
[43]
웹사이트
Mr. John Ralston Saul
https://ontariotechu[...]
2023-10-02
[44]
뉴스
Writer Saul wins
Montreal Gazette
1996-05-09
[45]
뉴스
Montador award winners named
North Bay Nugget
1999-05-27
[46]
웹사이트
John Ralston Saul fonds, Library and Archives Canada
http://central.bac-l[...]
2017-07-20
[47]
서적
Citizens and Nation: An Essay on History, Communication, and Canada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0
[48]
서적
A Fair Country: Telling Truths About Canada
Viking
2008
[49]
간행물
His Excellency John Ralston Saul J.D. Young Memorial Lecture “A New Era Of Irregular Warfare?” Lecture Delivered To Faculty And Cadets Royal Military College Kingston, Ontario
http://www.gg.ca/med[...]
[50]
간행물
The McGill Law Journal Annual Lecture
http://lawjournal.mc[...]
[51]
웹사이트
http://www.cbc.ca/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